[2022.06.26] 6월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 yield bond spread, 미국 기준 금리, 국채 금리]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연준은 큰 폭으로 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전, 6월 FOMC에서는 20여 년 만에 0.75%의 금리를 올리면서 그 속도를 올렸습니다.이렇게 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 나감에 따라, 시장 참여자들은 경기 침체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는데요.연준 파월 의장도 올해 초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최근 언급을 보면 경기침체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경기침체 신호 중, 하나인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 Yield Bond Spread)에 대하서 알아 보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High Yield Bond Spread)
하이일드 채권이란(High-Yield Bond)?
무디스의 신용평가 기준 Ba1, 스탠다드 앤 푸어스(S&P) 신용평가 기준 BB 이하의 채권을 말합니다. 이러한 낮은 평가 기준의 채권은 고수익을 보장할 순 있지만, 높은 위험을 동반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투자 부적격 채권' 또는 '정크 본드'라고 부릅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란, 하이일드 채권과 미국 국채 간의 수익률 차이를 말합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금리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는 신용 시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국채 금리와 하이일드 채권 금리 차가 벌어진다면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경기 전망이 좋지 않을 때는, 부도 가능성이 높은 하이일드 채권을 보유하려는 수요가 줄어듭니다.
수요가 줄어들면 투기등급 채권의 가격은 하락합니다.
채권가격의 하락은 회사채 금리의 상승시킵니다.
또한, 회사채 대신 국채 보유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채의 가격 상승, 그리고 국채의 수익률 감소로 결국에는 두 채권의 스프레드가 더 벌어지게 됩니다.
이와 같이 채권 스프레드는 시장 참가자들의 경기 전망을 말해 주기 때문에, 경제 위기 지표로 활용됩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변화
[1996~2022]
아래 그림.1 을 보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푸른색 음영으로 표시된 것은 미국의 불황을 표시한 것으로, 경제위기 때마다 채권 스프레드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결국 '경기 불황'에 대한 공포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때 10% 넘게 확대 되었던 스프레드가 '22년 1월까지는 3% 수준까지 줄어들었으나, 높은 인플레이션 문제가 수면 위로 본격적으로 떠오르면서, 다시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림. 2] '22년 6월 23일, 5.38%이 되었으며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기준금리', '10년 국채 금리'
최근에 러시아 사태, 그리고 인플레이션 강세 지속, 연준의 큰 폭의 금리인상으로 시장은 경기침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인한 10년 국채 수익률이 3%를 넘어 섰으며, 장단기 금리 축소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2.06.23 기준]
- 현재 미국 기준금리 : 1.50~1.75%
- 10년 물 금리(장기) : 3.09%
- 2년 물 금리(단기) : 3.01%
- 3개월 금리(단기) : 1.65%
- 10년-2년 금리차 : 0.08%
- 10년 3개월 금리차 : 1.44%
-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5.38%
[10년 국채 금리 -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최근 큰 폭의 금리인상으로 10년 국채 금리도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채권 수익률이 더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그림.3]
[미국 기준 금리 -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서 연준은, 강한 고용지표, 경제 지표를 근거로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의 진행은, 물가 인상 지수가 적정 수준으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진행될 것입니다.
이런 의지로, 시장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고 그 우려는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등 경제 위기 지표에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여러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변화 예상과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 아래 ♥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 )
관련 글
[2022.06.12] 5월 미국 경제 지표 종합 (미국 실업률, core PCE, core CPI, PMI, 소비자 심리지수, 장단기 금리 차이, 고용 지표)
[2022.06.25] 6월 미시간대학교 미국 소비자 심리 지수 (CSI) 50.0 역대 최저치 확정[기대 인플레이션 등 세부항목 포함]
[2022.06.12] 6월 Quant 투자 지표 정리(Dual momentum, VAA, LAA)
[2022.05.22] 5월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추세(10년, 2년, 3개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