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1] 5월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 전년 대비, 8.6% 상승 ↑(6/10 발표, 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Core CPI), 세부항목 포함)
['22년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update 22.06.11]
YoY, 전년 동기대비 상승률(%) | CPI (소비자물가지수) |
Core 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발표 | 8.6 | 6.0 |
예측 | 8.3 | 5.9 |
전월 발표 | 8.3 | 6.2 |
[주요 물가 지수 항목(YoY)]
- Food : 10.1% ↑
- Energy : 34.6% ↑
- 그 외 기타 주요 상승
중고차 16.10%↑, 항공료 37.8%↑
[속보] 미국, 지난달 소비자 물가 8.6%↑…41년 만에 최대폭
[속보] 미국, 지난달 소비자 물가 8.6%↑…41년 만에 최대폭, 강경주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소비자 물가 지수/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CPI, Core CPI)
8.6%, 6.0% 상승(YoY)
'22년 5월 CPI 가 발표되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8.6% 가 상승된 수치로 발표되었습니다.
시장의 예측치[8.3%]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로, 41년 전의 상승폭 이후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발표된 자료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81년 12월 CPI 8.92% 이후 최대 증가폭]
소비자 물가 지수 세부 항목
[주요 항목 상승(YoY, %)]
- 음식 : 10.1%
- 에너지 : 34.6%
- 음식료 에너지 제외 상품 : 8.5%
- 신차 12.6%, 중고차 16.1%
- 서비스 : 5.2%
- 주거 5.5%, 의료 4.0%, 교통 7.9%(항공료 37.8%)
Category | YoY | MoM |
All items (CPI) | 8.6 | 1.1 |
Food | 10.1 | 1.1 |
Energy | 34.6 | 6.1 |
All items less food and energy (Core CPI) | 6.0 | 0.6 |
Commodities less food and energy commodities (음식료/에너지 제외 상품) | 8.5 | 0.4 |
Apparel (의류) | 5.0 | -0.1 |
New vehicles (신차) | 12.6 | 1.0 |
Used cars and trucks (중고차) | 16.1 | 0.7 |
Medical care commodities | 2.4 | 0.3 |
Alcoholic beverages | 4.0 | 0.3 |
Tobacco and smoking products | 7.9 | 0.9 |
Services less energy services (서비스) | 5.2 | 0.6 |
Shelter | 5.5 | 0.6 |
Rent of primary residence (주택 월세) | 5.2 | 0.6 |
Owners' equivalent rent of residences (소유주의 임대료 등가치) | 5.1 | 0.6 |
Medical care services | 4.0 | 0.4 |
Physicians' services | 1.1 | -0.1 |
Hospital services | 3.9 | 0.2 |
Transportation services | 7.9 | 1.5 |
Motor vehicle maintenance and repair | 6.1 | 0.5 |
Motor vehicle insurance | 4.5 | 0.4 |
Airline fares | 37.8 | 16.1 |
CPI 발표날 미국 증시 반응
[22.06.10]
최근 발표된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상승세가 둔화된 것으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CPI 는 8.6%로 시장의 예측치를 상회하면서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22.06.10 미국 주요 증시 하락 마감]
- Dow : 2.73% ↓
- S&P 500 : 2.91% ↓
- NASDAQ : 3.52% ↓
6월 금리 인상 전망
[22.06.11 14:22 기준]
5월 CPI 발표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자 시장은 금리인상 전망을 다소 높인 것으로 보입니다.
2차례의 big step과 1차례의 giant step으로 올해 12월 금리 인상 전망을 3.00~3.25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오늘 기준, 예상치는 아래와 같으며 big step 2회(6월, 7월), giant step 1회(9월) 12월 금리인상 전망은 3.00~3.25 % 입니다.
- 현재 미국 기준 금리: 0.75~1.00% [70~100bp]
- 6월 FOMC 인상: 1.25~1.50% [50bp 인상 (96.4%)]
- 올해 금리 전망: 3.00~3.25% 기준 금리 예상(37.2%)
- 2차례 big step / 1차례 giant step예상
-. 6월 (0.50% 인상, 96.4%)
-. 7월 (0.50% 인상, 80.0%)
-. 9월 (0.75% 인상, 48.5%)
6월 FOMC에서 0.5% 인상이 예상되고, 올해 수차례 큰 폭의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물가 지수는 FED의 금리 인상 수준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높은 물가가 발표되고 있고, 고용시장은 굳건하기 때문에 FED는 금리인상을 주저 않을 것입니다.
FOMC의 결과 / 고용지표의 발표 / 물가인상 지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 시장의 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 아래 ♥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 )
관련글
[2022.05.28] 4월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전년 대비 6.3% 상승 ↑, core PCE 4.9%↑,발표 5/27(물가
[2022.05.28] 4월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전년 대비 6.3% 상승 ↑, core PCE 4.9%↑, 발표 5/27(물가 상승률 둔화 조짐, 미국 증시 급등, 6월 금리인상 전망) ['22년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r-mk.tistory.com
[2022.06.03] 5월 미국 고용 지표 종합 (미국 실업률, 비농업 고용 지수,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2022.06.03] 5월 미국 고용 지표 종합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 지수,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2022.06.03] 5월 미국 고용 지표 종합 (미국 실업률, 비농업 고용 지수,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5월 미국 고용 지표 (최종 지표 발표일 2022.06.03) 구분 주요 지표 발표 날짜 data 발표 예측 이전 고용지
r-mk.tistory.com
[2022.05.21] 22년 6월 FOMC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전망(Big step (0.5%) 금리 인상 유력, 파월 발언)
[2022.05.21] 22년 6월 FOMC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전망(Big step (0.5%) 금리 인상 유력, 파월 발언)
[2022.05.21] 22년 6월 FOMC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전망(Big step (0.5%) 금리 인상 유력, 파월 발언) 파월 "물가 확실히 잡을 때까지 계속 금리 인상할 것"(종합)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r-mk.tistory.com
[2022.05.04] 5월 FOMC 결과, 미국 기준 금리 50bp(0.5%) 인상 결정. 양적 긴축(QT), 22년만 Big step
[2022.05.04] 5월 FOMC 결과, 미국 기준 금리 50bp(0.5%) 인상 결정. 양적긴축(QT), 22년만 Big step.(역대 미국
2022.05.04] 5월 FOMC 결과, 미국 기준 금리 50bp(0.5%) 인상 결정. 양적 긴축(QT) (역대 미국 기준금리 변화, 미국 증시 반응, FOMC 일정) 미국 기준 금리 50bp 인상[Big step] :0.25~0.50% →0.75~1.00% 보유..
r-mk.tistory.com
[2022.03.27] 금리 인상 시기, 주가 변화(미국 기준 금리, S&P 500,NASDAQ, FOMC 0.25% 금리 인상 결정)
[2022.03.27] 금리 인상 시기, 주가 변화(미국 기준 금리, S&P 500, NASDAQ, FOMC 0.25% 금리인상 결정) '22년 3월 FOMC 결과 기준 금리 25bp 인상: 0~0.25% → 0.25~0.5% '22년 기준 금리: 1.9%(상세내용 아래 링..
r-m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