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7] 금리 인상 시기, 주가 변화(미국 기준 금리, S&P 500, NASDAQ, FOMC 0.25% 금리인상 결정)
'22년 3월 FOMC 결과
- 기준 금리 25bp 인상: 0~0.25% → 0.25~0.5%
- '22년 기준 금리: 1.9%(상세내용 아래 링크 클릭)
- '22년 GDP 하향 조정 : 2.8% ('21년 12월 예측 4.0% | 1.2% ↓)
- '22년 실업률 : 3.5% ('21년 12월 예측 3.5% | - )
- '22년 PCE 상향 조정 : 4.3% ('21년 12월 예측 2.6% | 1.7% ↑)
- '22년 Core PCE 상향 조정 : 4.1% ('21년 12월 예측 2.7% | 1.4% ↑)
-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시작 시점: 5월 FOMC에서 논의해볼 계획
2022.03.17 - [경제 정보] - [2022.03.17] 3월 FOMC 결과, 기준금리 25bp(0.25%) 인상 결정
3월 FOMC 결과, 연준은 0.25% 금리인상을 결정하였으며, 22년 GDP는 하향 조정, 인플레이션은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연준 의장 파월, “강한 고용시장을 유지하면서 물가 안정을 회복하는 것이 우리의 계획”
25bp(baby step)의 결정이 확정되자, 미국 주식 시장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S&P500 4% 이상 상승, 4338.79 → 4543.09)
그렇다면, 기준 금리 변화에 따라서 미국 경제는 어떤 움직임을 보일까요?
1. 미국 기준금리 (1950~now)
아래 그림 1을 보시면, 1950년부터 현재까지 미국의 기준금리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음영은 불황 시기)
미국 연준 금리인상 시기(1980~)
- 1979년 8월 ~ 1981년 5월 : 인플레이션 대응(볼커)
- 1983년 5월 ~ 1984년 8월 : 경기 과열 선제 대응(볼커)
- 1986년 12월~1989년 12월 : 자산시장 과열 대응(볼커, 그린스펀)
- 1994년 2월 ~ 1995년 2월 : 경기과열 선제 대응(그린스펀)
- 1999년 6월 ~ 2000년 5월 : 자산시장 과열 대응(그린스펀)
- 2004년 6월 ~ 2006년 6월 : 인플레이션 대응(그린스펀, 버냉키)
- 2015년 12월~2018년 12월 : 경기회복, 제로금리 정상화
- 2022년 3월~ : 인플레이션 대응
2. Core PCE(미국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미준 기준 금리 :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금리인상
- 1979년 8월 ~ 1981년 5월 : 인플레이션 대응(볼커)
- 2004년 6월 ~ 2006년 6월 : 인플레이션 대응(그린스펀, 버냉키)
- 2022년 3월~ : 인플레이션 대응
3. 미국 실업률 - 미국 기준 금리 : 연준의 목표는 최대 고용 수준 달성(실업률 3.5%~4.0%), 불황에 대응
- 불황에 대응 위한 금리 인하: 불황으로 실업률의 상승 대응 위해,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 진행
- 정상화 위한 금리 인상: 실업률이 최대 고용 수준에 다다르거나 그 수준이 되면, 금리인상 및 양적 긴축의 시작 근거
4. 미국 주식 시장 - 미국 기준금리(1990~) : 금리 인상 시기의 주가 움직임은?
금리인상의 시기에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식시장의 꾸준한 상승이 지속되었습니다.
주식시장의 붕괴는, 불황의 출현 그리고 그에 대응을 위해 금리 인하 시기에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물론, 추세로 봤을 때 금리 인상 시기의 주식시장 상승은 보이지만, 그 사이에 있는 주식시장의 큰 하락도 있습니다.)
불황과 금리 인하, 양적완화
- 1990년 ~ 1991년: 이라크 전쟁, 유가상승, 저축대부(S & L) 조합 줄 도산
- 2001년 : IT 버블 붕괴
- 2007년 ~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금융위기
- 2020년 3월~ : 판데믹(Covid-19)
5. 장단기 채권 금리 차이(10년 물 - 2년 물) - 미국 기준금리
경기를 예측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는 미국의 장단기 금리 차이입니다.
보통 장단기 금리 차이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1-2년 이 지난 다음 불황이 출현합니다.
장단기 금리의 역전은 왜 발생할까요?
기준 금리 인상이 장단기 금리의 역전의 직접적인 이유로 작용하는데요.
금리 인상으로 인해 단기금리가 상승되고, 시장 참여자들은 기준 금리의 상승으로 경기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 예상하고 불황(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장기 채권을 사들이게 됩니다.
장기채권의 수요 증가는, 장기채권의 가격 상승, 그리고 장기채권의 금리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불황의 신호로 해석합니다.
3월 FOMC 금리인상 발표 직후, 3월 24일 기준 장단기 금리 차이는 0.21%로 매우 축소되어있습니다.
5월 FOMC에서 양적 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에 대해 논의가 있을 예정이라고 하니,
매우 관심 갖고 지켜봐야 할 중요한 회의일 것 같습니다.
Summary
고용 지표가 굳건, 올해 실업률은 3.5% 수준으로 전망 (최대 고용 예상)
인플레이션이 '80년대 이후로 심각한 수준, 이에 대응 위해 올해 금리 인상 진행할 것 (물가 안정 대응 필요)
금리 인상은 올해 말까지, 2.0% 수준까지 올릴 것 (0.5% 인상(big step) 1회 이상 있을 수도)
기준 금리 인상 시기에도, 미국 주식 시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우상향.
연준 의장 파월, “강한 고용 시장을 유지하면서 물가 안정을 회복하는 것이 우리의 계획”
2022.02.10 - [경제 정보] - [2022.02.10] 2022년 FOMC 일정
[2022.04.18] 환율, 달러 인덱스 상승 시기(100돌파), 주가 변화(달러 인덱스, 환율, 미국 기준 금리, S&P 500, 코스피)
2022.03.17 - [경제 정보] - [2022.03.17] 3월 FOMC 결과, 기준금리 25bp(0.25%) 인상 결정
'지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03]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3% 돌파, 미국증시 상승 마감, FOMC 금리인상 0.5% 금리 인상 전망 (1) | 2022.05.03 |
---|---|
[2022.04.24] 미시간 대학교 소비자 심리 지수(CSI)[미국 주가, 달러인덱스와의 관계 분석] (0) | 2022.04.24 |
[2022.04.18] 환율, 달러 인덱스 상승 시기(100돌파), 주가 변화(달러 인덱스, 환율, 미국 기준 금리, S&P 500, 코스피) (0) | 2022.04.18 |
[2022.03.31]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역전(장단기 금리차 축소) (0) | 2022.03.31 |
[2022.02.10]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