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1

[2022.07.07] 6월 FOMC 의사록(인플레이션 90회 언급,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전망) [2022.07.07] 6월 FOMC 의사록(90번의 인플레이션 90회 언급,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전망) 6월 FOMC 최다 언급 단어 'Inflation' 90회 "연준의 물가안정화 의지가 재확인" "인플레이션(Inflation) 90회 언급" "7월 FOMC에서 0.5%~0.75%의 인상이 적절" "inflation" "market" "economic" "rates" "supply" "credit" 의사록 주요 내용 [FOMC 22년 경제 전망치 변화] GDP : 1.7% (3월 예측 2.8% | 1.1% ↓) 실업률 : 3.7% (3월 예측 3.5% | 0.2% ↑) PCE : 5.2% (3월 예측 4.3% | 0.9% ↑) Core PCE: 4.3% (3월 예측 4.1% | 0.2% ↑) 의사록.. 2022. 7. 7.
[2022.06.30] 5월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전년 대비 6.3% 상승, core PCE 4.7%↑,발표 6/30(물가 상승률 예상치 하회, 미국 증시 반응, 7월 금리인상 전망) [2022.06.30] 5월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전년 대비 6.3% 상승, core PCE 4.7%↑, 발표 6/30(물가 상승률 둔화 조짐, 미국 증시 반응, 7월 금리인상 전망) ['22년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 개인소비 지출 물가지수(PCE)] YoY, 전년 동기대비(%)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Core PCE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CPI (소비자 물가지수) Core CPI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6.3 4.7 8.6 6.0 예측 - 4.8 8.3 5.9 전월 발표 6.3 4.9 8.3 6.2 Food : 10.97% ↑ Energy goods and services : 35.82% ↑ Goods : 9.60% ↑ 서비스 : 4.66%↑ 美 .. 2022. 7. 1.
[2022.06.29] '22년 1분기 미국 실질 GDP -1.6 %(QoQ) 마이너스 성장 (5월 발표된 QoQ 잠정치 하회) [2022.06.29] '22년 1분기 미국 실질 GDP -1.6 %(QoQ) 마이너스 성장 (5월 발표된 QoQ 잠정치 0.1% 하회) ['22년 1분기 미국 실질 GDP(QoQ, 확정치)] 미국 실질 GDP (Real Gross Domestic Product) 1분기 실질 GDP [속보, P] (22.04.28) 1분기 실질 GDP [잠정, P] (22.05.26) 1분기 실질 GDP [확정] (22.06.29) 발표 -1.4 -1.5 -1.6 예측 1.1 -1.3 -1.5 전월 발표 6.9 ('21년 4분기) -1.4 -1.5 미국 1분기 성장률, -1.6%로 최종 집계…0.1%P 하향 조정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 2022. 6. 29.
[2022.06.26] 6월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 yield bond spread, 미국 기준 금리, 국채 금리] [2022.06.26] 6월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 yield bond spread, 미국 기준 금리, 국채 금리]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연준은 큰 폭으로 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전, 6월 FOMC에서는 20여 년 만에 0.75%의 금리를 올리면서 그 속도를 올렸습니다.이렇게 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 나감에 따라, 시장 참여자들은 경기 침체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는데요.연준 파월 의장도 올해 초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최근 언급을 보면 경기침체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경기침체 "가능성 있다"…미 고용시장 연이은 '채용 취소'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경기침체 "가능.. 2022.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