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1

[2022.02.17] 기대 인플레이션 - BEI(Breakeven Inflation Rate) [2022.02.17] 기대 인플레이션 - BEI(Breakeven Inflation Rate) 1. BEI 란BEI(Breakeven Inflation Rate) = 명목금리 - TIPS(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물가연동 채권) 기대 인플레이션 BEI, 시장 참여자, 경제 주체자들의 물가에 대한 전망이 반영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명목금리에서 물가연동 채권의 금리를 뺀 수치로, 차이가 높아질수록 시장 참여자들은 물가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물가연동 국채란, 물가상승이나 하락을 국채 가격에 연동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채권과 달리 물가변동 위험을 제거한 채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리 상승의 시기에 일반 채권과 달리 채권.. 2022. 2. 18.
[2022.02.13] 자산배분 현황 (YTD 수익) [2022.02.13] 자산배분 현황 1. 22.2.13 기준 자산 배분 현황 포트폴리오에 있는 자산들은 전체적으로 마이너스 기록 중... 주요 원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위기,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 등 2. 주요 자산 증감 1) 자산규모에 상관 없이 상위/하위 종목 -. 상위 5 종목 : DBC 10.8%, 한국항공우주 9.2%, BAC 7.6%, SPYD 2.8% -. 하위 5 종목 : 에코프로 -37.7%, ARKK -25.7%, ARKW -23.8%, ARKG -21.9%, TSLA -19.7% 2) 주요 보유 자산 상위/하위 종목 -. 상위 종목 : DBC 10.8%, BAC 7.6%, SPYD 2.8%, GLD 2.4%, -. 하위 5 종목 : TSLA -19.7%, QQQ -1.. 2022. 2. 13.
[2022.02.12]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 전년 대비, 7.5% ↑ [22.02.12]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 전년 대비, 7.5% ↑ 1. 지난 11일 미국 1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전년 대비 7.5% 상승, Core CPI 6.0% 상승 1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7.5% 가 상승된 수치로 발표되었는데요. 월가의 컨센서스였던 7.3% 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그림 1] 또한, 물가상승률 7.5%는 1982년 2월(7.6%) 이후에 가장 높은 수치 입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소비자 물가지수인, Core CPI 또한 6.0% 로, 가파른 상승세를 계속 이어갔습니다. [그림 2] 물가지수가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2. CPI 상승 및 미국 채권 금리 상승, 미 증시 반응 : 10.. 2022. 2. 12.
[2022.02.10]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2022.02.10] 미국 장-단기 금리의 움직임 .10년물 국채 금리: 장기 금리의 기준. 2%에 근접.. 이 금리가 오르면 가계, 기업, 정부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한다. 빚 부담이 커지는 방향 .2년 물 국채 금리 :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 .22년 2월 9일 기준, 장단기 금리차이 0.58% 장-단기 금리차이는 미국 시장의 주요 지표이므로, 계속 살펴 보는것이 필요합니다. 2022. 2. 10.
반응형